기본소득제는 불필요한 경제 제도 일까?
2020. 7. 23. 04:54
과연 기본소득제가 정말 비효율적인 제도일까?
정독해줬으면 좋겠지만 힘든 게이를 위한 요약
1. 매달 1인당 1500유로(원화로 약 190만원)까지 증가시키자고 주장
2. 모든 세금을 부가가치세(Mehrwertsteuer)로 단일화하자고 주장
3. 생산가격이 40% 가까이 감소
4. 수출가격이 크게 인하된다. 수출과 생산이 급격히 증대될 것
5. 노동자들의 실질소득이 증가하여 구매력이 커질 것이며, 생산비가 저하되어 수출은 크게 증대할 것
6. 세금이 소비세에 집중되어 있으므로 소비를 감소시켜 환경문제 해결에 크게 기여할 것
7. 소비세인상이 직접세인상보다 부의 재분배효과가 오히려 크다
근거는 저 링크에 자세히 나와있으니 가뜩이나 긴거 읽기힘들어하는 게이들을 위해 올리지 않을께 근데 가능하면 읽어줬으면 좋겠다 ㅠㅠ
한 경제학자의 주장일 뿐 아니냐고 할 수 있을꺼야.
읽기 귀찮은 게이들을 위한 요약
1. 하이에크랑 프리드먼은 자유주의 진영 경제학의 거장들이지만 그런 경제학의 거장들께서 기본 소득(basic income)을 옹호했다.
2. 노벨상을 받은 폴 크루그먼(Paul Krugman) 로버트 솔로우(Robert Solow)또한 옹호했다.
3. "I have always said that I am in favor of a minimum income for every person in the country"
"나는 언제나 말하지만, 모든 사람에게 최저 소득을 보장하는 것에 찬성한다" 라고 말하기도 했어.
어떤 게이와 한 토론의 일부를 가져왔어.
Q. 마음대로 비싼 음식 혹은 지하자원을 이용한 것들을 사면 자원고갈이 일어날꺼야.
A. 비싼 음식 혹은 지하자원을 이용한 것들을 살 때는 세금을 더 붙이면되지.
극단적인 예를 들어 인공 고기가 1000원이고 비싼 고기가 세금을 붙여 50000원이면 합리적인 소비자들이 비싼 고기를 더 살까?
'과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45년 특이점 예상도 (0) | 2020.07.23 |
---|---|
나노봇은 우리가 장수하도록 도와줄 것이다 - 나노봇의 현재 기술수준 (0) | 2020.07.23 |
VR 기술의 현재 발전 단계 (0) | 2020.07.23 |
영국 최대 국영은행 RBS에서 550명을 인공지능으로 대체한다고 함 ㄷㄷ (0) | 2020.07.23 |
구글, 캘리포니아서 첫 무인 자율주행 시험 (0) | 2020.07.23 |